세그웨이(Segway)라는 일 인승 운송장비가 있다. 이것은 자동차일까 아닐까? 이 문제는 매우 중요한데, 왜냐하면 이 결정에 따라 세그웨이에 적용되는 법률이 달라지고, 그에 따라 제품의 운명도 크게 영향받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세그웨이는 단순한 소비자 용품으로 분류되었고, 덕분에 판매와 사용이 쉬워졌다. 그러나 그것은 우연히 얻어진 것이 아니고, 그 결정을 얻어내기 위해 세그웨이의 개발사는 많은 로비를 벌였다.

다음은 이 내용을 담은 “Classifying the Segway”라는 짤막한 글을 번역한 것이다. 이 글의 출처는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 글은 David Armstrong과 Jerry Guidera가 2002년에 작성한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기술된 것이다. 이 기사에는 더 상세한 내용이 담겨 있다.

  • Everett M. Rogers (2003)[1962] “Classifying the Segway” Diffusion of Innovations, Fifth Edition, pp.148-149, Free Press.

세그웨이 분류하기

딘 케이먼(Dean Kamen)은 당뇨병 환자를 위한 휴대용 인슐린 펌프와 계단을 오르는 휠체어를 만든 대학을 중퇴한 50살1의 발명가이다. 2001년 말, 케이먼은 세그웨이라는 놀라운 제품을 선보였는데, 이것은 컴퓨터 칩으로 구동되는 자이로스코프와 센서가 탑승자의 움직임에 맞춰 제어하는 스쿠터와 유사한 장비이다. 탑승자는 똑바로 서서 운전대를 잡는다. 탑승자가 앞으로 혹은 뒤로 몸을 기울이면, 세그웨이는 이에 맞춰 반응한다. 이 장비는 브레이크나 가속기도 없고, 탑승자가 똑바로 서 있으면 멈춘다. 무게는 29.5kg, 높이는 약 1.2m, 속도는 19km/h이다. 세그웨이는 2001년 말 Good Morning America, Fraser, 제이 레노의 Tonight Show 같은 방송 프로그램에서 처음 소개되었다. 케이먼은 2002년까지 3천 달러짜리 세그웨이가 5만에서 10만 대 정도가 판매될 것으로 예측했다.

그때 세그웨이를 분류하는 문제가 불거졌다. 이 운송장비는 동력장치가 달린(motorized) 스쿠터일까 아니면 자동차일까? 만약 후자라면, 세그웨이는 사람이 다니는 보도에서 운행이 금지된다. 도로에서만 운행할 수 있다면, 대부분 사람은 자동차 및 트럭과의 사고를 두려워할 것이다. 세그웨이의 수용 여부를 정하는데 연방정부가 갑자기 중요한 행위자가 되었다. 딘 케이먼은 정부기관들을 설득하기 위해 워싱턴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전미 고속도로 교통안전 위원회(National Highway Traffic Safety Administration)는 세그웨이가 동력장치가 달린 휠체어와 유사하며, 그래서 자동차로서 규제받지 않는다고 결정했다. 케이먼은 여러 도시에서 그의 운송수단을 시험 운행하기 위해 경찰과 우체부를 설득했다. 주지사와 미국 국회의원이 세그웨이를 타는 모습이 널리 알려지기도 했다. 소비자 제품 안전 위원회(The Consumer Products Safety Commission)는 세그웨이를 “소비자 제품”으로 분류했다. 그러나 안전 전문가는 연방정부가 조명장치와 반사판을 의무화하고, 사용연령 제한 명시하며, 세그웨이 운행에 대한 면허증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핵심 이슈는 세그웨이를 어떻게 분류해야 하는가 하는 문제이며, 이것은 궁극적으로 기술혁신의 수용 여부를 정하는 사회적 구성 과정을 통해 정책입안자에 의해 결정된다.


더 우월한 기술이 언제나 승리하는 것은 아니다. 특정 기술이 해당 사회에서 인정받고 성공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사용하기에 우호적인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해당 기술의 사용을 지지하는 행위자들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 네트워크의 연결력을 높이고, 넓게 확장해야 한다. 이 과정은 저절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경쟁 기술과 그것에 우호적인 네트워크와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한다. 이 과정을 설명하는 방법을 행위자 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이라고 부른다. 더 자세한 내용이 필요하겠지만, 세그웨이가 저 결정을 얻어내기까지 과정은 행위자 연결망 이론으로 분석하기 적절한 사례처럼 보인다.

딘 케이먼은 세그웨이의 성공을 위해 이런 과정이 필요하다는 점을 처음부터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유명 방송을 이용하고, 유능한 로비스트를 고용하고, 정치인을 동원했다. 이것은 단순한 홍보를 넘어 세그웨이라는 새로운 기술을 지지하는 우호적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적극적인 활동이었다. 그리고 세그웨이는 로비스트를 고용하여 노력한 결과, 세그웨이가 전동 휠체어와 비슷한 것이라는 결정을 이끌어냈다.

이것으로 세그웨이에 우호적인 네트워크는 강화되었지만, 그렇다고 그것이 성공으로 연결된다는 보장은 없다. 조금 더 유리해졌을 뿐. 사실 세그웨이의 이후 운명은 절대 좋다고 말할 수는 없다. 세그웨이는 나중에 지미 헤슬든(Jimi Heselden)에게 팔리는데, 헤슬든은 세그웨이를 타다가 절벽에서 떨어지는 사고로 사망했다. 심지어 회사도 나인봇(Ninebot)이라는 중국기업에 인수되는데, 이 기업은 세그웨이의 특허를 침해했다고 세그웨이가 고발한 회사였다. 이쯤 되면 가혹한 운명이라 할 만하다.

  1. [역주] 이 글은 오래전에 쓰였고, 딘 케이먼은 1951년생이다.